1894년 성 스테파노의 날(12월26일), 르메르 시에 있는 인쇄소로 한 통의 전화가 걸려옵니다. 당시 파리 연극계의 별이었던 사라 베르나르의 연극 포스터 주문이었습니다. 모두가 휴가를 떠나고 활자들이 저마다의 이야기를 기록하는 저녁, 홀로 남아 교정쇄 아르바이트를 하던 체코의 어린 이민자는 전혀 다른 아름다움을 가진 포스터를 만들어 냅니다. 그는 마르고 기계적인 인쇄소에서 그림을 그리고 싶다는 꿈을 키워 낸 알폰스 무하입니다. 당시엔 연극 내용의 포인트나 배우를 가로로 길게 배열하는 형태가 포스터의 정석이었습니다. 무하는 선명한 윤곽선, 자연을 닮은 부드럽고 우아한 곡선과 빈틈없고 섬세한 장식적 배경, 아름답고 신비스러운 여인을 실사 크기의 세로로 담아 내었습니다. 거리에 걸린 포스터는 밤을 지내고 나면 누군가가 뜯어가 무하 그림의 인기를 실감하게 했습니다. 이후 사라 베르나르는 포스터 디자인뿐 만 아니라 무대와 의상 디자인까지 무하에게 의뢰하게 되지요. 무하는 예술적으로도 상업적으로도 커다란 반향을 일으키며 동시대의 예술가들에게 새로운 지평을 열어 보입니다. 

 알폰스 무하(Alphonse Mucha)는 1860년 7월24일 오스트리아의 통치를 받고 있던 모리비아의 작은 마을 ‘이반치체’에서 태어났습니다. 독실한 천주교 신자였던 부모님의 영향으로 경건한 종교적 환경에서 자라나지만 제국주의의 시대, 강대국에 의해 분열되고 간섭받는 슬라브족의 현실을 뼈아프게 느끼며 성장합니다. 그림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던 그는 프랑스로 유학합니다. 프랑스 말로 좋은 시기를 뜻하는 벨 에포크 시대, 즉 1890년대, 프랑스는 평화와 번영을 누리며 상업적으로 커다란 발전을 누리던 시절이었습니다. 그런 풍요와 안정을 바탕으로 새로운 예술이라는 ‘아르누보’가 탄생하지요. 머리카락만큼 가늘지만 꽃잎만큼 부드러운 선을 가진 여인들은 그의 천재적인 재능으로 ‘아르누보 양식’의 정점을 찍는 주인공이 됩니다.

그 화려한 정점에서 그의 캔버스는 고통 받는 민족에 대한 애정을 담습니다. 독립한 조국, 체코를 위해 <슬라브 서사시>를 헌정하지요. 이로 인해 나치는 체코를 점령한 뒤 제일 먼저 그를 구금합니다. 그의 조국애와 민족주의 성향을 우려한 탓이겠지요?

이 그림은 <봄,여름,가을,겨울> 중 ‘가을’입니다. 세로로 긴 화폭에 풍성한 머리카락을 뒤로하고 국화꽃 화관을 쓴 여인이 포도를 수확하고 있습니다. 수확의 감미로움을 느끼는 듯 두 눈은 감고 있네요. 그녀의 팔이 단단해 보이는 건 아무래도 자연의 결실을 거두는 노동 때문이겠지요? 율동적인 다리는 사뿐히 계절을 넘어갈 듯 합니다. 무하가 그려낸 ‘가을’은 풍부한 색감으로 과실이 익는 향기로움을 내뿜고 있습니다. 계절의 변화를 꽃과 여인에 빗대어 의인화한 건강하고 창조적인 에너지가 화면 밖까지 묻어나오는 군요.

종일 맨 몸으로 견디는 나무에 썬크림이라도 발라줘야 할 것 같았던 여름이 지나가고 있습니다. 허리 굽힌 바람이 불어오는 가을이 오면 우린 이 여름을 무하의 요정처럼 뜨겁고 입체적으로 기억할 것입니다. 그리고 단단한 두 발로 다시금 수확의 언덕을 오를 것입니다.

 

 

저작권자 © 반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