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서비스 제공 중인 단체에는 연락도 하지 않아

전동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장애인들은 지역 내 상당히 많다. 심지어 입으로 운전하는 장애인들도 쉽게 길에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동휠체어가 길에서 멈출 경우에 대안이 마땅치 않다고 한다.

배터리가 장착돼 있어 무게가 상당하고 일반 택시 등에 싣기가 불가능해 이동을 시키려면 특수차량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무려 130kg에 달한다고 한다. 이러하니 경찰이나 소방서도 이러한 신고를 받게 되면 난감한 실정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일 시의회 2층에서 ‘2017 안산시 보장구수리센터 설치를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토론회 장에서는 보급현황 및 안산시 이동보조기기 수리지원 실태를 비롯해 광명시 사례를 중심으로 안산시 휠체어수리센터 설치와 관련된 필요성이 논의됐다. 현재 수리를 맡고 있는 센터에서부터 시의원과 인근 도시 수리센터장 등 이 분야에 있어 전문가 다수가 머리를 맞댄 것이다.

현재 고장난 전동휠체어를 견인하는 ‘긴급이동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곳은 지역 내 모두 3곳이다. 이영식 안산시지부장을 비롯해 상록수장애인자립생활센터(상록수 센터), 안산장애인자립생활센터(안산 센터) 등으로, 3곳 모두 민간으로 알려졌다. 이중 두 곳은 지자체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고, 나머지 한 곳은 무상으로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그런데 이렇게 중대한 사항을 논의함에 있어 이상하게도 서비스가 가능한 3곳 중 한 곳에게는 연락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안산시장애인복지회는 올해 추석 전인 9월25일~26일에는 장애인지원센터 내에서, 27일과 28일에는 초지종합사회복지관 인근에서 전동스쿠터와 전동휠체어 이용자를 대상으로 무상점검 및 AS를 실시했다. 특히 올해 8월부터는 112와 119신고 시 배터리 방전 등 각종 돌발 사고 시 수리는 물론 긴급출동 서비스를 실시해 목적지까지 편의를 제공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상록수장애인자립센터 수리실 통계를 살펴보면 안산지역 내에도 약 1500여 건의 수리지원 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통계치를 보더라도 매년 늘어나는 수요와 예산을 일개 사회단체가 감당하기에는 이제 한계에 도달했다고 보인다. 연간 수리인원 만도 150명에 이르고 있음에도 사업비 명목으로 장애인복지기금에서 고작 약 300만원이 지원되는 현실에서 ‘안산시 보장구수리센터’ 설치는 절실하고 시급하다.

그러나 센터 설치가 시급하다고 해서 현재 서비스를 제공 중인 곳을 배제하는 것은 이해하기 힘든 처사다. 현장에서 서비스를 함에 있어 누구보다 시급한 사안과 필요한 지원을 잘 알고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들의 소리를 듣지 않고 소수가 모여 센터를 설치할 경우 향후 운영점수는 불을 보듯 뻔하다. 낙제점을 받을 확률이 매우 높다.

소수의 의견보단 다수의 의견이 더 신뢰성이 높고 더 소외된 장애인들의 불편함을 반영할 확률이 크다.

안산시와 안산시의회는 서둘러 ‘안산시 보장구수리센터’를 설치하길 바란다.

단 장애인들을 보살피고 있는 곳의 목소리를 외면하지 않은 채 말이다.

저작권자 © 반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