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총선부터 전격 도입된 안심번호제

여야가 올 총선부터 ‘안심번호 공천제(이상 ‘안심번호제’)’ 도입을 밝힌 가운데, 일각에서는 그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슈에 비해 큰 파란을 일으키긴 힘들 거란 분석이다.

‘안심번호제’란 정당이 대통령 후보나 국회의원 후보 등 공직 후보를 선발할 때 실제 전화번호가 아닌 암호화 프로그램으로 생성된 가상의 번호를 유권자에 부여하고, 정당은 이 번호로 전화를 걸어 여론조사를 진행한 뒤 후보를 정하는 새로운 공천제도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지난해 9월 ‘상향식 공천제’의 일환으로 안심번호제를 이번 20대 총선부터 전격 도입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리서치뷰는 지난달 18일 내놓은 보고서에서 “안심번호제는 유선전화가 가지고 있는 여론왜곡 한계를 극복하고 조사의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이라 분석했다. 또한, “임의번호로의 변환으로 젊은층의 여론조사 참여율이 대폭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같은 기대와는 다르게 유권자들의 반응은 미온적이다. 특히 사실상 안심번호제의 타겟인 젊은층의 반응이 냉소적이다. ‘신선하지만 특별할 건 없다’는 반응이다. 대학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한윤성(26·남) 씨는 “애초 유선전화 여론조사도 응답률이 30%도 안 되는데, 번호를 변환한다 해서 큰 응답률로 이어질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역시 정치학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B 씨도 “실효성이 없을 거라 본다”며 “얼마 전 유선전화가 온 적이 있는데, ‘여론조사’라는 말 듣자마자 끊어버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 역시 안심번호제가 선거 당락을 결정할 만큼 실효성이 있을 것 같지는 않다고 분석한다. 특히 이들은 안심번호제가 ‘상당한 민의왜곡 위험’을 가지고 있음을 지적했다. 김형준 명지대 교수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여론조사는 처음 전화를 걸었을 때 응답률이 15%밖에 되지 않고, 응답률이 낮은 20∼30대는 가중치를 적용하는 데, 이 비율에 따라 표가 왜곡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반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