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 소 논설위원

김태용 감독의 영화 ‘가족의 탄생’은 우리에게 색다른 그러면서도 우리가 이런 현실 속에 살고 있다는 자각을 문득 하게 한다.

제목은 가족의 탄생이지만 이 가족은 결혼으로 이루어진 정상 가족이 아닌 피 한 방울 안 섞인 사람들의 얽히고설킨 관계에 대한 가족 이야기다.

연히 라디오에서 들은 어느 청취자의 사연 즉, 오빠가 결혼을 해 함께 살게 된 올케와 갑작스런 교통사고로 오빠가 죽은 뒤에도 여전히 같이 살고 있는 시누, 그리고 그녀들의 입양녀에 대한 이야기는 감독의 상상을 거쳐 새로운 유형의 가족을 탄생시켰다. 이것이 김태용 감독의 ‘가족의 탄생’이다.

우리는 과거 혈연관계의 부모와 자녀로 이루어진 가족을 벗어나 더 나은 삶과 행복을 찾아 새로운 가족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역사학자 김기봉 교수는 이를 ‘정상 가족’이라 불리는 대문자 가족이 해체되고 소문자 가족들이 나타나는 현상을 이제는 누구도 막을 수 없다고 주장한다. 새롭게 탄생하는 소문자 가족의 모습들을 살펴보면서 가족의 의미를 되새겨 본다.

‘수정확대가족’은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가 각각 다른 집에 살지만 거리가 매우 가까워 마치 한집에 사는 것처럼 자주 오가며 돕고 사는 가족의 모델이다. 자녀 양육과 맞벌이로 인해 확대되고 있는 가족의 모델이다.

‘수정핵가족’은 크게 보면 한 울타리 안에 살지만 들여다보면 1층, 2층이나 안채, 바깥채로 나뉘어 살면서 아침과 점심은 각자 먹고 저녁만 함께 먹는 등 서로 사생활을 유지하며 함께 사는 가족의 모델이다.

‘딩크족(무자녀가족)’은 결혼은 했지만 자신들의 일과 자유를 중요하게 생각해 아이를 낳지 않기로 결정한 가족이다. 아이 대신 애완견을 기르는 딩크족을 딩펫족(맞벌이애완족)이라 부른다.

‘한부모가족’은 부모 중 한쪽이 어린 자녀와 함께 사는 가족이다. 한쪽 부모의 사망이나 이혼, 별거로 한부모가족을 선택하기도 한다.

비혼족이라 자칭하며 결혼을 거부하고 스스로 싱글맘, 싱글대디를 선택하는 이들도 있다.

‘재혼가족’은 부모 한쪽이나 두 사람 모두 결혼한 경험이 있는 가족이다. 서로 다른 가족이 함께 모여 살면서 배려와 존중의 분위기가 강하다.

‘나홀로가족’은 혼자 사는 일인 가구다. 싱글족, 골드미스 등으로 불리며 스스로 혼자 사는 것을 선택해 즐기며 사는 사람도 있지만 독거노인처럼 혼자 남겨진 가족의 수도 늘고 있다.

‘공동체가족, 대안가족’은 쉼터와 그룹 홈, 생산과 소비를 함께 하는 대규모 공동체인 키부츠나 생태마을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들은 함께 의식주와 노동을 하며 커다란 대가족을 이루며 살아간다.

물론 이런 다양한 소문자 가족은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 모두를 가지고 있다. 개인사 혹 가정사만의 일로 치부할 수도 없다.

이제 사회가 다양성을 인식하고 밖으로 나와 토론하고 함께 고민하는 적극성이 필요할 때다.

현재 사회 그리고 미래 사회는 이런 복잡한 양상을 띤 소문자 가족의 출현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제 이런 다양한 가족을 보는 시선도 편견을 넘어 이해와 사랑으로 다가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반월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